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군민중심 새로운미래 증평
국가상징 알아보기

증평군청증평군

자유게시판
  • Home
  • 소식/참여
  • 참여마당
  • 자유게시판
담당자정보
담당부서  
민원소통과 민원소통팀
연락처  
043-835-3417
최종수정일
2025-06-09 18:13

2025년 충청북도 증평군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원 안내

  • 추연일
  • 조회 : 2
  • 등록일 : 2025-11-08
 
2025년 충청북도 증평군 전기자동차 보조금 지원 안내

증평군은 친환경 이동수단 보급 확대 및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5년도를 대상으로 승용·화물·승합형 전기자동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합니다. 국비와 군비가 함께 지급되며, 차량이 출고되어 등록이 완료된 순서대로 보조금이 지급되므로 예산이 조기에 소진될 수 있어 빠른 신청을 권장드립니다.


1. 지원 대상

신청일 기준으로 증평군에 3개월 이상 거주지 등록된 만 18세 이상 개인 또는 군 내 사업장을 둔 법인·기관이 신청 가능합니다.
또한 장기렌트카 또는 리스 방식을 통해 전기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신청이 가능하니 계약 형태를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자는 지방세 및 세외수입 체납이 없어야 하며, 동일 세대에서 이미 보조금을 받은 차량이 있는 경우 신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지원 금액

차량 종류(승용·화물), 배터리 사양, 차량 가격,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지원액이 차등 지급됩니다. 예컨대 증평군의 경우:
승용 전기차: 약 최대 1,16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전기화물차: 최대 2,424만 원까지 지급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다만 실제 지급 금액은 모델, 사양, 가격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구매 전 반드시 해당 차량이 지원 대상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3. 추가 지원 혜택

다자녀 가구, 소상공인·배달·택배 운전자,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고 전기차로 전환한 경우 등은 우선지원 또는 추가 인센티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청년층 혹은 생애 첫 전기차 구매자에게는 기본 보조금 외에 추가 혜택이 제공될 가능성이 있으니 해당 조건 적용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신청 절차

전기차 판매 대리점 또는 제조사와 차량 구매계약을 체결합니다.
계약 후 보조금 신청서 및 관련 증빙서류(주민등록등본, 사업자등록증 등)를 준비합니다.
판매 대리점 또는 제조사가 ‘무공해차 보조금 지원시스템’을 통해 증평군에 신청을 대행합니다.
증평군은 신청자의 주소지, 사업장 소재지, 체납 여부 등에 대해 적격 심사를 진행합니다.
차량이 출고되고 등록이 완료되면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지급 방식은 차량 가격에서 차감되거나 제조사 계좌로 지급될 수 있으며, 계약 시 지급 방식 및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상세정보: https://www.sinchadream.co.kr
※ 보조금은 차량 출고 및 등록이 완료된 순서대로 지급되기 때문에, 계약·출고·등록 일정을 빠르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유의사항

보조금은 차량이 출고되고 등록이 완료된 순서대로 지급됩니다.
지원 받은 차량이 의무 운행기간(예: 약 2년) 내에 매각·폐차·등록말소된 경우에는 보조금 환수 조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전에는 해당 차량이 보조금 대상 모델인지, 차량 가격·사양이 요건을 충족하는지, 체납 여부가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예산이 한정되어 있어 조기 마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청은 늦추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6. 문의 및 안내

문의처 : 증평군청 환경과 또는 친환경차 보급담당 부서

상담시간 : 평일 09:00 ~ 18:00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신청 전에는 대상 차종 목록 및 보조금 잔여 예산 현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지원사업은 증평군 내 친환경차 보급을 확대하고 전기차 구매 초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니, 조건과 절차를 꼼꼼히 확인하신 뒤 기한 내 신청해 주세요.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상단으로

Copyright(c) 2022 by Jeungpyeong-gu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