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증평군독서왕김득신문학관증평군

상설전시

독서왕김득신문학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행복최고!안전최고!살기좋은 증평

상설전시

  • Home
  • 전시 및 교육
  • 상설전시
상설전시 안내

김득신 문학관의 상설전시품을 안내하는 페이지입니다.
상설전시관에서는 백곡 김득신 선생의 생애와 정신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관 입구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관 내부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관 연도표 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연도표 전경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2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3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 내부사진 재주가 남만 못하다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말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겟지만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모든 것은 힘쓰는데 달려있을 따름이다 - 김득신 묘비문 중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4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5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관 입구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관 내부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관 연도표 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연도표 전경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2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3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 내부사진 재주가 남만 못하다 스스로 한계를 짓지 말라, 나보다 어리석고 둔한 사람도 없겟지만 결국에는 이룸이 있었다. 모든 것은 힘쓰는데 달려있을 따름이다 - 김득신 묘비문 중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4
김득신 문학관 상설전시의 전시품 사진5

우리 전시공간은 어린이들도 알기 쉽게 백곡 김득신 선생의 생애와 정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미디어 장비 중심의 전시 공간을 구성하였습니다.

첫 번째 전시 구역인 김득신의 생애에서는 연대와 가계를 도식화하여 표현하였으며,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일러스트 영상물로 주요 일화를 구현하였습니다.

두 번째 전시 구역인 느림의 미학에서는 백곡 김득신 선생의 유년 시절과 그 때의 노력을 알아볼 수 있도록 키오스크(체험식 장비)와 스크린 영상을 설치해 두었으며, 선생의 문집인 백곡집(가택본)과 과거 합격기록을 찾아볼 수 있는 방목, 국가무형문화재 제106호 김각한 각자장이 전통 기법을 활용해 판각한 백곡집(목판) 등 유물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전시 구역인 기다림의 결실 공간에서는 백곡 김득신 선생의 작품인 용호(한강에서) 시를 중심으로 김득신 선생의 생애와 문학 세계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영상물을 준비하였으며,

네 번째 전시 구역인 느림교육에서는 한자, 그림 등을 직접 색칠한 후 라이브스캐너를 통해 화면에 연출되는 장비를 연출하였습니다.

마지막 전시 구역인 겨뤄보기 공간에서는 전시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퀴즈를 풀어보는 마무리 공간을 준비하였습니다.

전시품 안내

각 전시품 사진에 마우스를 올리면 사진을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백곡집 栢谷集
  • 시기 : 조선후기
  • 크기 : 21.5*33.2
  • 종류 : 필사본
  • 소중품번호 : 증1

김득신의 문집으로 1590여 수의 시와 180편의 산문이 수록되어 있다. 백곡집은 김득신 사후 그의 친손인 김가행(金可行)과 외손 이렴(李濂)에 의해 정리가 이루어져 이서우(李瑞雨)와 박세당(朴世堂)에게 시문과 유문의 산정 및 서문을 부탁하여 1730년경 목판으로 초간되었다. 독서왕김득신문학관 소장 백곡집은 초간본 간행 이후 후손들이 다시 유문을 수집 정리하고 부록을 보충하여 필사본으로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필사 경위와 시기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본집의 내용 중에 6대손인 김유헌(金由憲)의 기록이 있으므로 대략 순조(純祖)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임인증광별시방목 壬寅增廣別試榜目
  • 시기 : 1662년
  • 크기 : 17.1*27.9
  • 종류 : 목판본
  • 소중품번호 : 증2

임인년(1662년, 현종 3)에 실시한 증광시(增廣試) 합격자 명부. 증광시는 조선시대에 임금의 즉위, 왕비책례(王妃冊禮), 원자탄생(元子誕生) 등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한 비정기적 과거 시험이다. 김득신은 59세의 나이로 증광시 병과(丙科)에 급제하였다.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한 사람의 성명을 적은 명부인 이 방목에는 김득신의 자(字), 생년, 본관, 거주지, 가족 사항 등이 기록되어 있다.

당송팔대가문초 唐宋八大家文抄
  • 시기 : 조선후기
  • 크기 : 21.7*34
  • 종류 : 목판본
  • 소중품번호 : 구80

중국 명대의 모곤(茅坤)이 당의 문인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과 송의 문인 구양수(歐陽修), 소순(蘇洵), 소식(蘇軾), 소철(蘇轍), 증공(曾鞏), 왕안석(王安石) 등 문장가 8인의 문장을 선정하고 작품마다 간략한 평을 붙여 간행한 문선집. 김득신이 「독수기」에 기록한 고문 중 「목가산기(木假山記)」 , 「획린해(獲麟解)」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기영선 史記英選
  • 시기 : 조선후기
  • 크기 : 20.3*30.2
  • 종류 : 목판본
  • 소중품번호 : 구122

사마천의 『사기』와 반고의 『한서』에서 중요 부분을 뽑아 1796년에 정조가 간행한 역사서. 김득신이 11만 3천 번 읽은 『사기』의 「백이전」이 권 2에 수록되어 있다. 「백이전」은 중국 고대 고죽국孤竹國 군주의 두 아들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에 관한 이야기로, 부끄럽게 사느니 굶어 죽기를 택한 지조와 절개의 인물들이다. 『사기』의 백미로 평가받으며 김득신은 「독수기」에서 「백이전」을 읽은 것은 글이 드넓고 변화가 많아서라고 언급하였다.

전국책 戰國策
  • 시기 : 조선후기
  • 크기 : 21.2*32.5
  • 종류 : 목판본
  • 소중품번호 : 구107

중국 전한 시대의 유향(劉向)이 전국시대의 수많은 제후국 전략가들의 정치, 군사, 외교 등 약 240년간의 책략을 모아 기록한 책. 김득신이 읽은 책 중 주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주책(周策)』이 수록되어 있다.

대가문회 大家文會
  • 시기 : 유몽인柳夢寅, 1606
  • 크기 : 23.3*37
  • 종류 : 목판본
  • 소중품번호 : 구83

유몽인(柳夢寅)이 당송팔가문 중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의 글만을 취하여 선조 39년(1606)에 간행한 고문선집. 이 책을 통해 조선 시대 문장학습의 경향을 알 수 있다.

당송팔자백선 唐宋八子百選
  • 시기 : 1781(정조5)
  • 크기 : 22.4*34.5
  • 종류 : 금속활자본
  • 소중품번호 : 구85

정조가 모곤(茅坤)의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鈔)>를 참고하여 당송 팔자의 여러 문장 중에서 100편을 손수 가려 모아 1781년에 편찬한 고문 · 산문선집.

창려선생집 昌黎先生集
  • 시기 : 조선
  • 크기 : 23.7*35.5
  • 종류 : 목판본(부분필사본)
  • 소중품번호 : 구108

중국 당(唐)나라의 문학자이자 사상가인 한유(韓愈)의 시문집. 김득신이 읽은 고문 중 「송고한상인서(送高閑上人序)」, 「사설(師說)」, 「남전현승청벽기(藍田縣承廳壁記)」, 송궁문(送窮文), 연희정기(燕喜亭記), 지등주북기상양양우상공서(至鄧州北寄上襄陽于相公書),응과목시여인서(應科目時與人書), 송구책서(送區册序), 마설(馬說), 오자왕승복전(朽者王承福傳), 송정상서서(送鄭尙書序), 송동소남서(送董邵南序), 후십구일부상서(後十九日復上書), 상병부이시랑서(上兵部李侍郞書), 송요도사서(送廖道士序), 휘변(諱辨), 장군묘갈명(張君墓碣銘), 용설(龍說), 제악어문(祭鰐魚文) 등이 실려있다.

소화시평 小華詩評
  • 시기 : 조선후기
  • 크기 : 19.8*23.5
  • 종류 : 필사본
  • 소중품번호 : 구103

조선 숙종 때 문인인 홍만종(洪萬宗)이 상고 시대부터 저자 당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시를 정리하고 품평한 시화서이자 조선 역대 시(詩) 정리 및 평(評)하는 비평서. 김득신(金得臣)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연기신편 演機新編
  • 시기 : 안명로(安命老), 1660년
  • 크기 : 21.3*27.3
  • 종류 : 목판본
  • 소중품번호 : 구106

숙종 때의 안명로(安命老)가 진법(陣法)의 비조(鼻祖)라 일컫는 풍후(風后)·악기(握奇)의 법을 추연(推演)하여 진법(陣法)을 논하고 여기에 병서(兵書)와 음양가(陰陽家)의 제법(諸法)을 덧붙여 엮은 병서(兵書). 상·중·하 3권 3책. 총 123장. 권두(卷頭)에 1658년(효종9)에 홍석구(洪錫龜)가 쓴 서문(序文)과 1659년에 김득신(金得臣)이 쓴 서문(序文), 1660년(현종1)에 저자 자신이 쓴 자서(自敍)가 수록되어 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최종수정일 :
2024-02-28 17:05
(27917)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인삼로 93대표전화 : 043)835-4691 ~ 3

Copyright(c) 2020 by Jeungpyeong-gun.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c) 2018 by Jeungpyeong-gun. All rights reserved.